티스토리 뷰
이번에는 switch문에 대해서 얘기해보려 합니다.
자바에서 'switch문'이란 저번에도 얘기했다시피 'if문'과 더불어 자바에서 사용하는 조건문인데요, 'switch문'은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물론 'if-else if문'을 사용해도 되지만 경우의 수가 많아질 경우 'if-else if문' 보다는 'switch문'이 더 유용하다고 생각해요
저번에 봤던 if-else if문이 'if ( 조건식 1 ) { 조건식 1이 맞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else if ( 조건식 2) { 조건식 2가 맞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else { 조건식 1, 조건식 2 둘 다 맞지 않았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은 조건식이 2개밖에 안 들어갔기 때문에 간단해 보였지만
만약 경우의 수가 더 많아져서 조건식이 많이 들어가게 된다면 얘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조건식이 10개만 들어간다고 해도 아래처럼 입력해야 됩니다.
딱 봐도 뭔가 너무 복잡해 보이죠??ㅎㅎ 물론 '복사 + 붙여 넣기'를 하면 되지만 그래도 복잡해 보이는 건 사실입니다.
이럴 때 switch문을 사용해주면 좋은데요 switch문은 ' switch ( 조건식 ) { case1 : case1이 맞을 때 지정해놓을 내용; break; case2 : case2가 맞을 때 지정해놓을 내용; break; .......... case9 : case9가 맞을 때 지정해놓을 내용; break; default : 어떠한 case도 일치하지 않을 때 지정해놓을 내용; break; } ' 이런 식으로 표현하면 됩니다.
글로써 적어놓으니 더 복잡해 보이지만 아래에 있는 사진으로 보면 훨씬 간단해 보입니다.
중복되는 값이 있을 경우 아래 사진처럼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렇게 'switch문'에 대해서 얘기해봤는데요, 지금은 경우의 수가 이렇게 10개밖에 없지만 만약 경우의 수가 10개를 넘어서 몇십 개가 돼버린다면 'if문'과 'switch문' 중에서 어떤 조건문이 더 편리해 보이시나요?? 저라면 if문 보다는 'switch문'을 고를 것 같습니다ㅎㅎ
둘 다 직접 입력해본 결과 switch문이 경우의 수가 많아졌을 때 각각 입력을 하거나 중간에 수정을 해야 했을 때 더 편리하고 깔끔했기 때문인데요, 그렇다고 해서 if문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건 아니니 자신에게 더 편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아무래도 초보자이다 보니 일단 보기에 깔끔해야 눈에 더 잘 들어오는 것 같아요ㅎ 그리고 보기에 깔끔해야 에러가 떴을 때도 금방금방 찾을 수 있었습니다. 초보자 단계이지만 내용이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는데요 조건문에 대해서는 좀 더 공부를 진행한 뒤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