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에 얘기할 내용은 자바에서 사용하는 'if문'과 'if-else문', 그리고 'if-else if문'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if문?? if-else문?? 이것만으로도 복잡한데 if-else if문은 또 뭐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if문은 switch문과같이 자바에서 사용하는 조건문의 하나인데요 쉽게 말해서 이러한 조건문은 어떠한 조건식이 있고 이 조건식을 만족했을 때 내가 지정해놓은 내용이 출력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if (조건식) { 지정해놓은 내용 }' 이런 식으로 입력을 해놓았을 경우 조건식을 만족했다면 그 뒤에 지정해놓은 내용이 출력이 되고 만약 조건식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지정해놓은 내용이 출력되지 않은 채로 넘어가게 되는 거죠
좀 더 쉬운 예를 들자면 아래의 사진을 보면 된다. 제가 입력해 놓은 것을 보면 아래와 같은데요
if (-50 <= a && a <= 50) { System.out.println("충족"); }
이 말은 a가 -50과 50 사이에 있는 수일 때 충족을 출력한다는 내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a가 30일 때는 '충족'이 출력됐고 a가 70일 때는 '충족'이 출력 안된 채로 넘어가게 되죠
그리고 '{ }' 이 모양의 블럭 안에 문장이 있다면 그 문장들은 모두 다 if문에 속하게 됩니다.
이제 if- else문에 대해서 얘기해볼 건데요, 여기에서는 참과 거짓 즉 맞을 때와 아닐 때만 구분해서 적어놓으면 돼요
예를 들자면 'if (조건식) { 조건식이 맞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 else { 조건식이 틀릴 때 지정해놓은 내용 }' 이렇게 적어놓으면 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위에서 사용했던 충족, 만족을 조금 변형시켜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if-else if문은 뭘까요?? 이 경우에는 경우의 수가 2개가 아닐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자면 'if ( 조건식 1 ) { 조건식 1이 맞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else if ( 조건식 2) { 조건식 2가 맞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else { 조건식 1, 조건식 2 둘 다 맞지 않았을 때 지정해놓은 내용}' 이렇게 사용할 수가 있어요
이렇게 글로 써놓으면 너무 복잡해 보이니 아래에 사진으로 적용해놓은 예시를 한번 봐볼게요ㅎㅎ
앞서 조건식 1의 조건은 a가 -50에서 50 사이이면 충족이 출력되도록 해놨었는데요 여기에 새로운 조건식을 추가했습니다. 바로 a가 70 이상 100 이하이면 만족으로 출력이 되도록 해놨었죠 그리고 -50 이상 50 이하, 70 이상 100 이하를 제외한 수에는 기쁨이라는 단어가 출력되도록 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오늘은 'if문'과 'if-else문', 그리고 'if-else if문'에 대해서 얘기해봤는데요 조금씩 더 복잡해지는 걸 느끼고 있습니다ㅎㅎㅎ
아직 기초과정인데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어렵네요ㅎㅎㅎ 최대한 쉽게 써본다고 했는데 이해가 잘됐으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